복지 사각지대 해소 위해 퇴직공무원 참여 유도
행정자치부는 복지허브화 사업 일환으로 퇴직공무원들이 ‘재능나눔’ 방식으로 각 읍·면·동 복지공무원들과 함께 ‘찾아가는 복지 상담’ 서비스를 시행한다.
읍면동 복지허브화 사업은 읍면동 복지공무원이 먼저 직접 주민을 찾아가 상담하고, 민간 복지기관 등과 함께 주민 개개인에게 맞춤형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일컫는다.
행자부는 이 사업을 통해 지역복지 서비스를 개선하고, 여성 비율이 72.3%로 다른 직렬에 비해 높은 복지공무원의 현장업무 수행 시 퇴직공무원이 동행함으로써, 안전한 근무여건을 조성해 나갈 방침이다. 참고로 2015년 12월 기준으로, 퇴직공무원은 총 37만3,529명으로, 이 중 작년에 퇴직한 공무원은 4만340명으로 집계됐다.
퇴직공무원의 참여를 위해 우선, 지자체 수요조사를 통해 대상 읍·면·동을 정하고, 재능 나눔을 신청한 퇴직공무원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한다.
교육 과정을 이수한 퇴직공무원들에게는 행자부 장관이 공식인증서를 부여하고, 이들은 공무원연금공단의 인재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돼 읍·면·동 재능 나눔에 참여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이후, 지자체별 수요, 퇴직공무원 경력 등을 고려한 읍·면·동과 퇴직공무원 간 매칭을 통해 대상 지역 및 대상자가 최종 확정된다.
퇴직공무원들의 근무형태 및 시간은 읍면동별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 정해 운영하도록 할 계획이다.
행자부는 올해 하반기 중 복지허브화 추진 읍·면·동을 대상으로 퇴직공무원 100명을 시범 배치·운영하고, 운영 성과를 고려해 2017년부터 전국적으로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행자부는 읍·면·동 재능나눔 퇴직공무원에 대한 참신하고 친숙한 대외명칭을 대국민 공모를 통해 선정한다. 국민 누구나 응모 가능하며, 오는 22일까지 행정자치부 및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참여할 수 있다. 1등, 2등, 3등에게는 각각 30만원, 20만원, 10만원 상당의 문화상품권이 지급된다.
김성렬 행정자치부 차관은 “이번 사업으로 퇴직공무원의 소중한 행정경험이 복지서비스에 접목돼 주민 만족도가 높아지고, 복지 현장 여성공무원의 안전한 근무여건 조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공동체가 중심이 되어 지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퇴직공무원, 민간 자원이 복지서비스 제공에 참여하는 지역사회 협업 모델을 더 많이 발굴하고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출처: 공무원저널> |